강원대학교병원 심장내과 이봉기교수, 최고의 의학전문지인 NEJM에 등재
□ 강원대학교병원 심장내과 이봉기교수가 세계 최고 권위의 의과학전문지인 ‘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(NEJM)’에 등재되는 쾌거를 올렸다.
□ 이번 논문의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승정교수가 책임연구자로서 진행한 ‘Dur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Drug-Eluting Stent Implantation (약물 용출성스텐트 시술 후 항혈소판제 사용 기간에 관한 연구)’이며 이봉기교수는 공동연구자로서 연구를 진행하여 공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. NEJM에 논문이 게재되는 것은 임상 분야 의과학자에게는 최고의 영광으로 인식되고 있다.
□ 특히 이번 연구는 NEJM으로부터 먼저 논문 게재 요청을 받아 게재 과정에서부터 학술적 중요성이 주목받았고 3월 15일자 인터넷판과 4월 15일자 발간되는 저널에 논문이 게재될 것이다.
□ 이번 논문의 주제는 협심증 중재시술(가슴을 열지 않고 스텐트를 삽입해 심장혈관을 넓혀주는 비수술적 첨단 치료)의 임상 치료분야로 스텐트 혈전증을 막기 위해 환자가 복용하는 항혈소판제(클로피도그렐) 사용과 그 복용 기간을 언제까지 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중요한 임상적 연구 결과이다.
□ 현재는 약물코팅스텐트를 사용한 중재시술 이후, 스텐트가 혈전으로 막혀 환자가 사망하거나 심근경색증에 걸릴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해 항혈소판제를 사용하고 있다. 그런데, 이에 따른 출혈성 부작용이 문제가 될 수 있어 시술 후 언제까지 항혈소판제인 클로피도그렐을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아무도 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.
□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의 박승정교수가 주축이 되어 강원대병원 심혈관센터를 비롯한 국내 22개 심장센터를 연결, 총 2701명의 약물코팅스텐트 시술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했다. 그 가운데 약 절반인 1344명은 1년만 항혈소판제를 복용하게 했고, 나머지 1357명은 2년 이상 지속적으로 항혈소판제를 더 복용하게 했다. 2년 정도의 관찰기간 동안 심장사(死)와 심근경색증의 발생률 차이를 보고자 했는데, 결과적으로 연구관찰 기간 동안 두 그룹에서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. 따라서 1년 정도의 항혈소판제(클로피도그렐) 복용만으로도 아스피린을 계속 복용할 경우에는 안정성 및 유효성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규명했다.
□ 이번 논문의 연구결과는 3월 16일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‘미국심장학회(ACC)’의 가장 중요한 주제를 발표하는 코너인 Late Breaking Trial Session에서 발표될 것이다.